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배경

나이 많은 회사원이 “다시 시작하는 구닥다리 프로그래머(Dinosaur Programmer)라는 이름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이유는 단순한 취미라기보다는 개인적인 전환점을 만들기 위한 시도입니다.

저는 프로그래밍을 해오면서 늘 아쉬움으로 남았던 부분이 있었는데, 바로 프론트엔드 지식의 부족과 비동기 처리의 어려움이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저의 다시 시작하는 구닥다리 프로그래머(Dinosaur Programmer)로서의 여정을 증명하는 과정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Dinosaur Programmer

스스로를 구닥다리 프로그래머라고 하는 이유는 제가 짜는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객체 지향적이라기 보다는 순차적인 흐름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미 만들어진 객체지향 코드는 이해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었지만, 개선하려고 하면 코드가 꼬이고, 디버깅이 복잡해져 버렸습니다. “아, 이게 내 머리의 한계구나”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던 중, 회사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제가 가진 강점은 커널 프로그래밍, 시스템 운영, 데이터 분석이라는 하이브리드 경험에 있었는데, 현실에서는 단순 운영자로 불려 다니는 일이 늘어나면서 점차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된 겁니다. 이때부터 “단순 운영이 아니라 내 장점으로 업무를 확장해야 한다”는 절실함이 생겼습니다.

회고

프로그래밍을 오래 해오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세상이 너무 빨리 변한다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순차적 사고와 단순한 절차지향 방식만으로도 충분했지만, 지금의 개발 환경은 전혀 다릅니다.
클라우드와 비동기 처리, 협업 중심의 최신 프레임워크는 새로운 언어처럼 낯설게 다가옵니다.

옛날식 개발자는 순차적 사고에 익숙해 최신 프레임워크의 복잡한 비동기 흐름 앞에선 매번 ‘퇴물’임을 실감한다.

이런 깨달음이 때로는 서글프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시 배우고 도전해야 한다는 동기를 주기도 합니다.

AI 코딩 도구와의 첫 만남

마침 회사에서 GitHub Copilot을 지원해주어 사용해보게 됐습니다. 생각보다 괜찮았고, 개인적으로 WindSurf를 구매해서도 활용해봤습니다. 프롬프트를 잘 주지 못해 원하는 결과가 항상 나오지는 않았지만, AI가 제시하는 코드의 퀄리티는 의외로 나쁘지 않았습니다.

다만 문제가 있었습니다. 코드가 길어질수록 이해하기 힘들어지고, 동작이 예상과 다르게 흘러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AI를 이용한 Vibe Coding이라는 게 사실 과장된 게 아닐까?”라는 회의감도 들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친한 후배가 Claude Code를 쓰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는 “코드의 90%는 그대로 쓰고, 10% 정도만 수정한다”고 했습니다. 반신반의하며 직접 써봤는데…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코드의 구조가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웠으며, 결과물도 만족스러웠습니다.

다양한 AI 도구 비교 경험

그래서 저는 GPT의 Codex, Copilot, WindSurf, 그리고 Claude Code까지 다양하게 시도해봤습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었지만, 저와는 Claude Code가 가장 적절한 도구였습니다.

  • Copilot은 빠른 제안이 강점이었지만 맥락을 길게 이어가기엔 부족했습니다.
  • WindSurf는 초반 학습에는 괜찮았지만 코드가 커질수록 다루기 어려워졌습니다.
  • Codex는 실험적인 재미가 있었지만, 안정성 면에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 Claude Code는 이해하기 쉬운 코드와 높은 정확성으로, 지금의 제 상황에 가장 잘 맞았습니다.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이유

이 모든 과정을 거쳐 이제는 단순히 AI 도구를 체험하는 수준을 넘어, 개인 프로젝트를 만들어 세상에 올려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시작하는 구닥다리 프로그래머“라는 이름을 붙여봤습니다. 외국에서는 Dinosaur Programmer 라고 하는 것 같더라고요.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산출물이 아니라, 저에게 있어 프로그래머로서의 재도전이자 자기 계발의 기록이 될 것입니다.

  • 부족했던 프론트엔드 역량을 직접 다뤄보며 개선할 기회
  • AI 코딩 도구를 실무 프로젝트에 적용하면서 얻는 실질적인 경험
  • 나이와 무관하게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

저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히 코드를 완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늦깎이 프로그래머도 AI를 활용하면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습니다.

앞으로의 방향

앞으로 진행할 프로젝트는 아직 작은 규모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가진 하이브리드 경험(커널, 운영, 데이터 분석)에 프론트엔드와 AI 코딩을 더해, 실질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보는 것이 목표입니다.

물론 시행착오도 많을 겁니다. 하지만 그것 또한 기록으로 남겨, 저와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다시 시작하는 구닥다리 프로그래머가 저만으로 끝나지 않고, 같은 고민을 가진 이들에게 작은 용기와 동기부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나아가 이 기록이 단순한 개인의 회고에 그치지 않고, 세대와 세대를 이어주는 다리처럼 역할을 했으면 합니다. 언젠가 후배 개발자들이 이 글을 보고 “나도 도전할 수 있다”라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면, 그 자체로 충분히 의미 있는 프로젝트가 될 것입니다.


결론

이 프로젝트는 “늦게라도 도전할 수 있다”는 작은 다짐에서 시작됐습니다. AI 코딩 도구는 프로그래머의 경험과 결합했을 때 훨씬 더 큰 힘을 발휘합니다.
저는 이제 그 첫 발을 내딛었고, 하나씩 스텝을 나눠서 해보려고 합니다. 결과물이 나올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근데 결과 물이 나온다면 다들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힘들 낼 수 있는 발판이 되어보려고 합니다.

By Ma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